추석은 직원, 거래처, 학회 구성원 등 다양한 대상에게 선물을 단체로 전달해야 하는 시즌입니다. 하지만 막상 준비하려고 하면 이런 어려움이 따릅니다.
- 인원수가 많아 예산 설계가 복잡하다.
- 취향이 다 달라 품목 선택이 어렵다.
- 주소 수집·배송 관리 등 발송 과정에서 업무 부담이 크다.
- 세무·회계 처리 기준이 헷갈린다.
이번 글은 추석 단체선물을 처음 준비하는 담당자도 실수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예산·품목·발송·증빙 처리까지 하나하나 짚어드리는 가이드입니다.

Step 1. 추석 단체선물 예산 설계

예산이 틀리면 모든 준비가 흔들립니다. 단체 선물은 단가와 인원 수가 곱해지는 구조라 작은 단가 차이도 큰 예산 차이로 이어집니다.
추석 단체선물 예산 설정 시 고려사항
- 1인당 단가
- 총 인원수 (직원 수, 참여자 수, VIP 고객 수)
- 추가 비용 (포장, 배송, 발송 수수료)
실무 팁
- 계산식 : 1인 단가 × 인원수 + 부대비용
- HR 담당자라면 복리후생비 비과세 한도 10만 원을 기준으로 단가 설계
- 예산이 빠듯할 때는 배송비가 없는 모바일 쿠폰을 활용
예시
구분 | 인원수 | 1인 단가 | 추가 비용 | 총 예산 |
---|---|---|---|---|
직원 복지 | 80명 | 7만 원 | 배송비 30만 원 | 590만 원 |
학회 행사 | 300명 | 1만 원 (모바일 쿠폰) | 배송 無 | 300만 원 |
이벤트 | 200명 | 3만 원 | 포장비 20만 원 | 620만 원 |

Step 2. 추석 단체선물 품목 선정

단체 선물은 보편성이 핵심입니다. 특정 연령이나 취향에 치우친 선물은 불만을 낳기 쉽습니다.
직원 단체 선물 품목 선택 시 고려사항
- 실용성 : 일상에서 바로 쓸 수 있는가
- 명절성 : 추석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가
- 사용 편의성 : 사용처가 다양하고 접근성이 좋은가
추석 단체선물 유형
선물 유형 | 대표 품목 | 특징 | 적합 대상 | 예시 |
---|---|---|---|---|
식품류 | 한과, 과일, 건강식품 | 명절 분위기, 정성 강조 | 직원, 거래처 | 직원 50명에 한과 세트 |
상품권/모바일 쿠폰 | 편의점, 커피, 올리브영 | 취향 존중, 배송 無 | 임직원, 학생 | 학회 참가자 200명에 편의점 쿠폰 |
건강식품 | 홍삼, 비타민 | 연령대 불문 선호 | 거래처, 교수진 | 거래처 VIP에 홍삼 세트 |
간식 꾸러미 | 견과, 티 세트 | 사무실·기숙사 활용 | 직원, 학생 | 임직원 간식 박스 제공 |
실무 팁
- 보편적으로 선호 되는 품목을 선택 → “누구나 받을 수 있고, 누구나 쓸 수 있는 선물”
- 만족도를 높이려면 선택권이 있는 선물(상품권/쿠폰) 활용
- 포장·추석 인사 메시지를 커스터마이징해 브랜딩 효과까지 고려
예시
- 식품류 : 전통 한과 세트 → 직원 50명 단체 선물로 명절 분위기 극대화
- 건강식품 : 홍삼 세트 → 거래처·교수진 같은 격식을 요하는 대상에게 적합
- 모바일 쿠폰 : 스타벅스/편의점 쿠폰 → 학회 참가자 200명 대상, 배송 주소 불필요
- 간식 박스 : 견과류·차 세트 → 사무실·기숙사에서 활용도 높음

Step 3. 발송 방식 결정

전달 방식에 따라 담당자의 업무량과 대상의 만족도가 크게 달라집니다.
명절 단체선물 발송 형식 선택 시 고려사항
- 배송 관리 가능 여부 (주소 취합, 오배송 리스크)
- 선물의 성격 (격식 vs 실용성)
- 예산 효율 (배송비 부담 vs 모바일 환불 기능)
실무 팁
- VIP 고객·거래처에는 실물 선물이 여전히 효과적
- 직원·참여자 같은 대규모 대상에는 모바일 쿠폰이 가장 효율적
- 상황에 따라 혼합 운영 전략(VIP=실물, 임직원=모바일) 활용
- 판촉물 / 명절 실물 상품 / 모바일 쿠폰 대량 발송 플랫폼 서비스를 활용한다면 업무 시간 단축
- 우리가 원하는 조건의 발송 대행 업체 비교 미리 체크
예시
- VIP 거래처 10곳에 한우 세트(20만 원대) 실물 발송 → 격식과 신뢰 전달
- 직원 200명에 커피 쿠폰 모바일 발송 → 추석 전날 즉시 사용 가능
- 학회 참가자 500명 대상, 모바일 편의점 쿠폰 발송 → 주소 취합 업무 無

Step 4. 증빙 & 세무 처리

단체 선물은 반드시 세무 기준에 맞게 회계 처리해야 합니다.
증빙 처리 시 고려사항
- 대상별 회계 계정 분류 (복리후생비·접대비·판매촉진비)
- 비과세 한도(직원 1인당 10만 원 이하)
- 증빙 자료 확보 (세금계산서, 전자영수증 등)
실무 팁
- 직원 : 복리후생비 처리, 10만 원 이하 비과세
- 거래처 : 접대비 처리, 매출액 대비 한도 확인 필수
- 이벤트·참여자 : 판매촉진비 또는 광고선전비 처리
- 모바일 쿠폰은 비과세 유가 증권으로 세금 계산서 발행 x
예시
- 직원 70명 × 8만 원 과일 세트 = 복리후생비 처리, 비과세 가능
- 거래처 15곳 × 20만 원 한우 세트 = 접대비 처리, 한도 검토 필요
- 학회 참가자 300명 × 1만 원 모바일 쿠폰 = 판매촉진비 처리
추석 단체선물 FAQ
Q1. 명절 단체 선물은 언제까지 주문해야 하나요?
A. 실물 배송은 최소 추석 2주 전에 주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택배 물량이 몰리는 시기라 지연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반면, 모바일 쿠폰은 연락처만 있으면 즉시 발송할 수 있어 추석 직전까지도 준비 가능합니다
Q2. 거래처 선물도 금액 제한이 있나요?
A. 네, 거래처 선물은 접대비로 처리되며 매출액에 따라 한도가 있습니다. 한도를 초과하면 비용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거래처 선물은 단가·수량 조정이 필요합니다.
Q3. 배송 주소를 다 수집하기 어렵습니다. 대안이 있을까요?
A. 네, 학회·교내 행사처럼 주소 확보가 힘든 경우, 모바일 쿠폰 발송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연락처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발송이 가능합니다.
명절 단체 선물은 조직의 신뢰와 배려를 보여주는 기회입니다. 예산·품목·발송 방식·세무 처리에서 각각의 고려사항과 기준을 지키면, 단순한 선물이 아니라 브랜딩·관계 강화·복지 효과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