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이벤트, 설문조사 리워드, 사내 캠페인 등에서 상품 혹은 상금 지급하는 건 흔한 일입니다.
그런데 지급하고 나면 꼭 들리는 소리…
“이거 세금 신고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기프티콘도 과세 대상인가요?”
“세금 안 떼고 줬는데, 문제 되나요?”
이때 실무자는 상금 세금 처리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으면서 처리 지연, 결재 반려, 신고 누락 등의 리스크로 이어지기도 하죠. 이 콘텐츠에서는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상금·상품 세금 처리 기준과 실수 없이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 그리고 모바일 쿠폰 활용 팁까지 실용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상품·상금 지급에도 세금이 붙을까?

① “소득”으로 보기 때문에 지급된 상품 혹은 상금 지급 세금 발생
세법상 ‘무상으로 제공된 금전·물품’은 수령자 입장에서는 기타소득에 해당합니다. 세금이 붙기 때문에, 주최하는 쪽에서 상금 지급 시 원천징수를 해야 합니다.
② 원천징수율: 기본은 22%
- 기타소득 원천징수율 : 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 총 22%
- 단, 현금 상금은 필요경비(80%)를 공제받을 수 있어 실질 세율은 약 4.4%
- 상품은 필요경비 인정 안됨 → 전액 과세 대상 = 22% 적용
③ 상금 세금 얼마인가? (예시)
상금 총액 | 필요경비 공제 | 과세 대상 금액 | 세율 22% 적용 | 실수령액 |
---|---|---|---|---|
100만 원 | 80만 원 공제 | 20만 원 | 44,000원 | 956,000원 |
50만 원 | 40만 원 공제 | 10만 원 | 22,000원 | 478,000원 |
30만 원 | 24만 원 공제 | 6만 원 | 13,200원 | 286,800원 |
💡 실무 팁 : 현금 상금은 실질적으로 4.4% 세율이 붙습니다.
⚠️ 실물 상품(기프티콘, 경품 등)은 다릅니다
상품 쿠폰 금액 | 세금 (22%) | 실수령 가치 |
---|---|---|
50,000원 | 11,000원 | 39,000원 상당 |
100,000원 | 22,000원 | 78,000원 상당 |
💡 실무 팁 : 상품은 필요경비 공제 없기에 지급한 금액 전체가 과세 대상으로 해당되어 22%의 세금이 붙습니다.
④ 비과세 조건도 있다?
일부 조건을 만족하면 ‘세금 없이’ 지급도 가능해요!
- 수령자 기준 기타소득이 5만 원 이하인 경우 → 비과세 가능
(예: 1인당 기프티콘 25,000원 지급 → 기타소득 25,000원 → 비과세 적용 가능) - 국가·지자체 주최 공모전 상금/부상 → 과세 대상 제외
- 기업에서 주최하는 일반 공모전 상금의 경우, 기타소득으로 분류되어 과세대상
- BUT, 국가 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비과세 소득(소득세법 시행령 제 18조)로 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아요!

상품은 모바일 쿠폰으로 주면 더 편하다?!

많은 실무자들이 실물 상품 대신 모바일 쿠폰(기프티콘)을 활용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모바일 쿠폰을 선택하는 이유
장점 ① 상금 세금 처리 계산이 명확합니다
실물 상품은 ‘감정가’가 얼마인지 따로 따져봐야 하고,
세금도 얼만지 계산이 애매해서 회계팀에 물어보는 일이 생기죠.
모바일 쿠폰은 그런 복잡함이 없습니다.
- 쿠폰 가격 = 과세 기준 금액 그대로 사용 가능
- 예 : 5만 원짜리 스타벅스 쿠폰 → 그냥 5만 원을 기준으로 22% 세금 계산
- 따로 감정가나 시장가 조사 없이 정해진 가격만으로 바로 처리 가능
💡 결과적으로, 상금 세금 처리가 빠르고, 잘못될 여지도 적습니다.
장점 ② 회계팀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줄어듭니다
“이거 계정 뭐로 잡으셨어요?”
“발송한 거 증빙 있나요?”
회계팀 질문들, 모바일 쿠폰이면 훨씬 덜 받습니다.
- 누구한테 보냈는지, 언제 발송했는지 데이터로 모두 남음
- 지급 목적(이벤트, 경품, 복리후생 등)에 맞춰 회계 계정 정리도 명확 (복리후생비, 판매촉진비, 광고선전비, 접대비 등)
💡 결과적으로, 회계팀에 자료 넘길 때도 깔끔하고, 불필요한 질문을 줄일 수 있어요.
장점 ③ 나중에 문제 생겨도 추적이 가능합니다
“누구한테 뭐 줬는지 기억이 안 나요…”
“나중에 세금 문제 생기면 확인이 안 되는데요…”
모바일 쿠폰 발송 플랫폼을 쓰면 이런 걱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누가 어떤 쿠폰을 받았는지 시스템상 자동으로 기록
- 지급 내역, 수신 확인, 수령자 정보 모두 간편하게 확인 가능
- 센드비처럼 세무 처리 기능이 있는 플랫폼은 발송 내역 저장, 회계 증빙 처리 까지 간편하게 제공
💡 결과적으로, 사람이 하나하나 기록 안 해도 되고, 세무 이슈 생겼을 때도 근거 자료가 남아 있으니 안심할 수 있습니다.
🛠 실무자를 위한 상금 세금 처리 체크리스트
항목 | 체크 |
---|---|
상금 또는 상품이 기타소득인지 확인했나요? | ✅ |
필요경비 공제 대상(현금 지급)인지 구분했나요? | ✅ |
수령자 1인당 금액이 5만 원 초과인지 확인했나요? | ✅ |
22% 원천징수 계산 기준을 정확히 이해했나요? | ✅ |
회계팀에 제출할 증빙(세금계산서, 수령 내역 등)을 확보했나요? | ✅ |
상품으로 지급하기 적합한 모바일 쿠폰 TOP 4
쿠폰 | 추천 이유 | 가격대 |
---|---|---|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기프티콘 | 부담 없는 금액 + 브랜드 인지도 최상. 사내 행사/설문조사 리워드용으로 최고 인기 | 4,700~10,000원 |
🍗 BBQ 황금올리브치킨 쿠폰 | 가족 단위 수령자나 외식형 리워드에 적합. 가성비 높고 만족도 높음 | 20,000원대 |
🍔 버거킹 세트 쿠폰 | 1만원 이하 구성으로 소액 리워드 예산에 최적. 직장인 대상 점심 캠페인 등에도 활용도 높음 | 8,000~9,000원 |
🛍 GS25 모바일 상품권 | 자유도 높은 선택형 쿠폰, 실물 상품처럼 쓸 수 있어 만족도↑, 상품 지급과 유사한 효과 | 5,000~10,000원대 |
💡 활용 팁
- 세금 처리 시에는 발송 금액 기준으로 기타소득 판단 (예: 1인당 5만 원 초과 시 원천징수 필요)
- 대량 발송 시 플랫폼을 통해 수령자별 발송 내역, 사용 여부 까지 발행 가능 (예: 센드비)
- 단, 모바일 쿠폰의 경우 비과세 유가증권으로 세금 계산서 발행이 되지 않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모바일 쿠폰도 원천징수 해야 하나요?
A. 1인당 지급 금액이 5만 원을 넘지 않으면, 세금 원천징수 없이 지급해도 됩니다. 예를 들어, 5,000원짜리 커피 쿠폰을 1인에게 한 번 지급하는 정도라면 기타소득 5만 원 이하 비과세 기준에 해당되기 때문에 세금도, 신고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단, 여러 번에 나눠서 지급했더라도 합산해서 5만 원을 초과하면 22% 세금 원천징수 대상이 될 수 있으니 수령자 관리가 필요합니다.
Q2. 상금 세금이 4.4% 세율인가요?
A. 현금 상금의 경우, 전체 금액의 80%를 비용으로 간주하고 나머지 20%만 과세 대상이 되어 실질 세율이 4.4%입니다.
Q3. 사내 이벤트나 설문조사 리워드도 신고해야 하나요?
A. 목적에 따라 다르며, 직원 복리후생 목적일 경우 10만 원 이내는 비과세 가능성이 있지만 반드시 용도·금액별 구분이 필요합니다.
상품이나 상금을 지급하는 일은 흔하지만, 처리 과정에서 생기는 세무 리스크와 회계 혼선은 조금만 실수해도 큰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확하게 처리하되, 복잡하지 않게 그 해답은 바로 모바일 쿠폰 세금 명확성 확보입니다. 모바일 쿠폰은 세무·회계 처리를 명확하게 하면서도 수령자 관리까지 가능한 실무형 솔루션입니다.
- 신규가입 시, 센드비 1만원 권 100% 증정
- 최대 25% 할인 가격에 구매 가능
- CSV 업로드만으로 수백~수천 건의 발송을 5분 만에 처리
- 거래명세서 및 발송 내역 등 회계 증빙까지 간편하게 발급 지원
- 쿠폰 커스텀으로 로고 및 메세지 추가 가능
- 1:1 담당자 배치로 문의 사항 빠르게 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