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dbeeblog

2025년 가정의달 선물 예산 잡는 방법 및 실무 가이드

“직원 300명에게 상품권을 줄 건데, 회계 처리 기준이 뭐더라?”
“기안 올릴 때 단가 기준은 어디서 참고하지?”
“예산은 한정되어 있는데 팀원 만족도는 챙기고 싶고…”
“기획은 내가 하는데, 보고부터 결재, 회계 처리까지 다 맡아야 하니 막막하다…”

매년 돌아오는 5월 ‘가정의 달’! 근로자의 날, 어린이날, 어버이날, 부부의 날 등 챙겨야 할 날이 유난히 많은 만큼, HR팀과 마케팅팀의 고민도 깊어지는 시기입니다.

특히 사내 구성원 대상 가정의달 선물을 기획할 때, 단순히 어떤 걸 줄지가 아니라 예산은 어떻게 짜고, 보고는 어떻게 하고, 지급 후 회계 처리는 어떻게 할지까지 전 과정을 고려해야 하죠.

이번 콘텐츠에서는 HR담당자와 마케터들이 실무에 바로 쓸 수 있는 가이드들을 모두 정리 해드립니다.
✅ 선물 예산 가이드
✅ 사내 보고/기안 팁
✅ 세무상 처리 주의사항

가정의달 선물 예산 잡는 5단계 가이드

① 총 지급 대상 인원 확정하기

우선 전체 지급 대상자를 확정하는 게 핵심입니다.

구분포함 여부 체크
정규직기본 포함 대상
계약직 / 인턴사내 정책에 따라 선택
파견 / 외주 인력포함 시 이슈 여부 확인 필요
신규 입사자 / 퇴사자기준일(예: 5월 1일 기준 재직자) 정하기

✅ 팁: 일반적으로 5월 1일 기준 재직자 또는 5월 급여 대상자를 기준으로 인원 산정합니다

② 1인당 지급 단가 설정하기

예산은 단가에 따라 체감 만족도가 달라집니다.

예상 단가추천 상황
5,000원 이하소규모 이벤트, 조직 규모 클 경우
10,000원 내외부담 없이 감사 표시, 실속형
20,000원 ~ 30,000원명절/가정의 달 등 시즌성 복지 선물
50,000원 이상VIP 직원, 핵심 인재 대상 추가 복지용

✅ 팁: 구성원의 수와 조직 예산 규모에 따라 2단계 단가 책정도 가능합니다. (예: 정규직은 20,000원 / 계약직은 10,000원)

③ 총 예산 산정 (대상자 수 × 단가)

예시 :

✅ 예비비는 발송 오류·누락·신규 입사자 대비용으로 3~10% 정도 추가 편성합니다.

④ 지급 방식에 따른 추가 비용 고려

지급 방식체크 포인트
모바일 쿠폰 (기프티콘 등) 수수료 포함 여부 체크 (대량 발송 사이트 경우, 할인율 높음)
실물 배송건당 배송비, 포장비 체크 (2,500원~5,000원)

✅ 팁: 모바일 쿠폰 대량 발송 플랫폼을 이용하면 더 높은 할인율로 구매 가능하고, 단체 발송까지 도 자유롭습니다.

⑤ 회계 계정 기준 설정

사내 예산 코드 혹은 지출 항목을 미리 설정해두면 기안서 작성과 회계 보고가 한결 수월합니다.

사용 목적회계 계정 예시
직원 선물복리 후생비
사내 이벤트복리 후생비 or 행사비
외부 고객 / 협력사 선물접대비

✅ 내부 규정에 따라 예산 코드가 다를 수 있으니 회계팀 사전 협의가 필요합니다.

실무에 바로 쓰는 가정의달 선물 추천 리스트

예산만 정해졌지, 무엇을 줄지 정하는 건 또 다른 고민입니다. 아래는 조직 규모·예산·수령 만족도를 고려한 가정의 달 선물 추천 리스트입니다.

예산대선물 예시특징
~5,000원스타벅스 아메리카노, GS25 쿠폰누구나 만족, 부담 없는 금액
10,000원 베스킨라빈스, 문화상품권, 파리바게뜨실속형 선물의 대표주자
20,000~30,000원네이버 페이 포인트, H.Point 금액권활용도 + 만족도 높은 표준형
50,000원 이상신세계, 롯데 등 백화점 상품권 프리미엄 복지, 핵심 인재용

✅ 추천 트렌드 포인트

브랜드 추천

✅ 1인당 지급액이 5만 원 초과 상품권은 급여로 간주될 수 있어 원천 징수 이슈 발생 → 지급 금액의 22% (소득세 20% + 지방 소득세 2%)
✅ 상품권 지급 시, 관리 대장 필수 → 지급 일자, 수령자, 금액, 품목 명시
✅ 지출 증빙용 서류 보관 → 발송 내역서, 거래 명세서 등

예산 기안서 작성 및 회계 처리 방법

📌 실제 예산 보고용 기안서 예시

[사내 복지] 가정의 달 선물 지급 계획(안)

기안 작성 시 유의사항

상품권일 경우, 지급 방법(모바일/실물), 사용 기한 등도 포함

“선물”이라는 표현보다 “복지” “사기 진작” 등 목적 기반 표현 사용

실물 배송 시 “배송지 취합 필요” 여부도 명시

📌 세무상 처리 방법과 회계 유의사항

법인 카드로 상품권과 모바일 쿠폰 구매 후 증빙 서류를 체계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재무 관리와 세무 최적화에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 단계별 가이드를 따라 정확하게 증빙 서류를 관리하세요.

영수증 및 거래 명세서 보관
법인 카드 관리 대장 작성
내부 결재 처리
⚠️ 실무 주의사항 요약

✅ 5만 원 초과 상품권은 급여로 간주될 수 있어 원천징수 이슈 발생
✅ 상품권 지급 시, 관리 대장 필수 → 지급 일자, 수령자, 금액, 품목 명시
✅ 지출 증빙용 서류 보관 → 발송 내역서, 거래 명세서 등

🎯 센드비와 함께, 5월 가정의달 선물을 간편하게

센드비는 기업 전용 모바일 쿠폰 대량 발송 플랫폼으로 가정의달 선물을 보다 손쉽고 정교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추가적으로, 직원들이 가장 선호하는 선물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센드비에서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 최대 1,000건까지 한 번에 대량 발송 가능
✅ 엑셀로 연락처 파일 업로드 및 복붙해 단체 발송 가능
✅ 스타벅스, 신세계, 레스토랑, CGV 등 다양한 브랜드 보유
✅ 사내 행사명, 회사 로고, 개인별 메시지 커스터마이징 지원
✅ 다양한 브랜드의 상품권으로 직원 만족도 UP
✅ 직원이 직접 고를 수 있는 선택형 쿠폰도 지원하여 만족도 극대

직원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가장 스마트한 방법,
가정의달 선물 준비도 센드비로 간편하게 해결하세요!

Exit mobile version